분류
2024년 8월
작성일
2024.04.04
수정일
2024.04.04
작성자
프라티위 밀라티
조회수
91

Context-Aware Dynamic Detection for Ransomware using Multivariate Feature

Ransomware is a type of malware that encrypts or extorts access to files, demanding a ransom payment from individuals or companies. Among the five stages of ransomware: infection, installation, communication, execution, and extortion, early detection is crucial to prevent extensive file encryption and minimize losses.

 

Traditional ransomware detection relies on static analysis, which often leads to high rates of both false positives and negatives. The static analysis approach struggles to identify unfamiliar or novel ransomware variants, as the detection focuses on specific ransomware families. While recent dynamic analysis is also getting more popular, the detection focuses on only one stage of ransomware phases, such as using PE binary for detection in the infection stage. On the other hand, ransomware attacks are becoming more sophisticated. Attackers employ zero-day exploits, targeting unseen vulnerabilities.

 

Anomaly detection offers a powerful tool for identifying unseen attacks, including zero-day exploits. However, it requires robustness and advanced capabilities, as attackers can attempt to evade detection by mimicking normal file access patterns. Therefore, relying on detection for only one stage is risky. 

 

Our research leverages the features related to each stage to better detect ransomware. We propose a stage-based adaptive weighted method of anomaly detection tailored for specific features of each stage. The x-objective is to find the optimum weight and window size for each stage. The result of the detection will be context-aware, with extra information on from which stage the ransomware is detected.

 

We utilize publicly available multiple ransomware datasets. We experiment with Long Short-Term Memory (LSTM)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based autoencoders for detection, along with Random Forest and Support Vector Machines (SVMs) for threshold prediction. The evaluation will be based on True Positive Rate (TPR) and False Negative Rate (FNR).

학위연월
2024년 8월
지도교수
최윤호 교수님
키워드
Ransomware Detection, Anomaly Detection, Context-Aware Security, Multivariate Analysis
소개 웹페이지
https://sites.google.com/pusan.ac.kr/millas-thesis-project/home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
다음글
지식증류 기반의 경량 3차원 거리 추정 기법 연구
김장현 2024-04-04 14:35:53.92
이전글
자기공명영상 기반 심장 영역 분할 및 질병 진단을 위한 자동화 프레임워크 개발
김민수 2024-04-04 13:27:48.293
RSS 2.0 822
게시물 검색
석사학위논문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첨부파일 조회수
822 스토리지 분리화 환경에서 데이터 이동 최적화를 위한 Near-Data processing 도건우 2025.10.23 0 35
821 Learning a Differentiable Multi-Branch Decision Tr 박한얼 2025.10.21 0 42
820 분산 사이드카 아키텍처 기반 클라우드-네이티브 시스템 콜 모니터링 윤건우 2025.10.19 0 47
819 RAG를 적용한 컨테이너 기반 마이크로서비스의 오류 식별 방법 조대영 2025.10.17 0 54
818 전시 환경에서의 관람객 행동 분석을 위한 Depth-Aware Zero-Shot HOI 조수현 2025.10.17 0 48
817 멀티모델 통합 선검출 기법의 환경 변화 강건성을 위한 베이지안 최적화 기반 파라미터 김정호 2025.10.17 0 53
816 레이더 기반 사람 행동 인식을 위한 경량 딥러닝 모델 설계 및 구현 곽도균 2025.10.17 0 50
815 메쉬 리깅 기반 안면 3D Gaussian Splatting의 부분 편집 기법 박현수 2025.10.17 0 44
814 가상현실에서 변형형 프록시가 감각 통합 및 일치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민성 2025.10.17 0 44
813 이상 음향 탐지를 위한 경량 Diffusion Transformer 모델의 설계 및 구현 구동한 2025.10.17 0 69
812 VR에서 제자리걸음 동안 주변 시야의 위치와 속도가 비의도적 위치 이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은승우 2025.10.17 0 51
811 실시간 공유화면 AI 분석을 통한 온라인 코딩 시험 부정행위 탐지 시스템 정해원 2025.10.17 0 58
810 지식 그래프 기반의 LLM 수학 추론 성능 향상 기법 박재현 2025.10.17 0 52
809 Autonomous Driving Agent Identification Under Host 도현철 2025.10.17 0 49
808 드론 기반 광역 모니터링 지연 시간 최소화를 위한 효율적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및 선택적 박동진 2025.10.17 0 46
807 시공간 정보 토큰을 활용한 3D Human Pose Estimation 전민수 2025.10.16 0 47
806 격자기반 양자내성암호 ML-KEM 하드웨어 설계 및 검증 강은세 2025.10.15 0 81
805 배리어프리 전시 서비스를 위한 대화형 수어 질의응답 거대언어모델 연구 허석용 2025.10.15 0 66
804 Long-Axis Guided Diffusion Autoencoder for Through 김준희 2025.10.15 0 51
803 데이터 증강을 활용한 전이 학습 기반 RT 용접 결함 분류 성능 개선 강명현 2025.10.15 0 75